KTC 주요업무

접수 ∙ 신청
  1. 1. 업무절차
  2. 2. 비대면접수
  3. 3. 작성가이드
  4. 4. 신청서 양식
상담의뢰
  1. 1. Q&A새창
  2. 2. 카카오상담새창
  3. 3. 전화문의
시험 · 검사
  1. 1. 전기전자
  2. 2. 기계계량
  3. 3. 화학환경
  4. 4. 바이오의료
  5. 5. 정보통신
  6. 6. 에너지
  7. 7. 신에너지
  8. 8. 조달전문
  9. 9. 계량기 형식승인 및 검정
  10. 10. 교정
  11. 11. 해외규격
  12. 12. 소프트웨어 및 보안시험
  13. 13. 어린이 놀이기구 검사
  14. 14. 유원시설 안전성검사
  15. 15. 야외운동기구 검사
  16. 16. 전기차 충전기
  17. 17. 모빌리티(자동차)
인증 · 심사
  1. 1. KC제품인증
  2. 2. KS제품인증
  3. 3. 품질인증(Q-Mark)
  4. 4. 전자기장환경(EMF)인증
  5. 5. V-체크 제품인증
  6. 6. 성능인증
  7. 7. 의료기기심사
  8. 8. 해외규격인증새창
  9. 9. GCC인증현황조회
  10. 10. GS인증
  11. 11. 할랄(HALAL) 인증
검증 (적합성평가)
  1. 1. 탄소중립건축인증(ZCB, Zero Carbon Building)
  2. 2. 청정수소 현장 설비심사
  3. 3. 국제통용 발자국 검증
  4. 4. ESG 보고서 제3자 검증(AA1000AS)
연구개발
  1. 1. 기술규제영향평가
  2. 2. 특허기술평가지원
  3. 3. 표준화기술개발사업
  4. 4.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5. 5.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지원
  6. 6. 4차산업&스마트혁신기술
  7. 7. 중소기업 결함제품 개선지원 사업

사이트맵 닫기

알림마당

우리는 최고의 시험·인증 서비스를 통해 더욱 안전한 세상에 기여한다.

홈

Print

본문 시작

KTC News

KTC, 쉬인 해외 직구 제품 품질 관리로 안전 강화
작성일 2025-01-16 조회수337

- 업무 협력 계약 체결 예정…어린이 제품 등 시험 품목 확대⋅교육 등 협업 강화 

- 시험 품목 확대 등 협업 강화 예정“해외 이커머스 제품 품질관리·안전확보”

▲KTC 군포 본원 전경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이하 KTC, 원장 안성일)은 ‘국내 시험인증기관 최초’로 글로벌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쉬인(SHEIN)의 직구 제품에 대한 품질관리 시험을 진행한다고 15일 밝혔다.


KTC는 최근 의류, 신발, 장신구 등 쉬인 판매 해외 직구 주요 제품 에 대한 품질 관리 시험을 의뢰받고, 지속적인 업무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계약 체결을 위한 최종 절차를 마무리했다.


KTC는 쉬인으로부터 의뢰받은 해외 직구 각 제품별 한국 안전 기준에 맞는 품질 관리 시험성적서를 발급해 제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쉬인은 지난 2012년 설립된 온라인 패션 소매업체로, 최근 5년 새 글로벌 시장에서 무서운 속도로 성장을 거듭해 현재 전 세계 패션 분야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6월에는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이어가고 있다.


KTC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른 국가인증통합마크(KC) 인증기관으로 국내 유통 제품의 국민 안전 및 품질 확보 역할을 수행하고, 쉬인은 플랫폼 판매 해외직구 제품의 품질 관리와 안전성을 강화하고자, 지난해 10월 쉬인 현지 사무실에서 구체적인 업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그 결과 국내 시험인증기관으로서는 최초로 쉬인 판매 직구 제품에 대한 품질 시험을 유치한 데 이어 지속적인 업무 협력 확대를 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KTC는 향후 쉬인과 업무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협업 영역을 확장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어린이 제품, 생활 제품 등 쉬인 판매 해외 직구 제품 품질 관리 시험 품목을 확대하고, 해외 셀러 대상 한국 인증 제도 및 안전 기준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협업을 이어 나갈 방침이다.


안성일 KTC 원장은“이번 쉬인과의 업무 협력을 통해 앞으로 한국 소비자들의 해외 직구 제품에 대한 유해성 우려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해외 이커머스 제품의 안전성 강화에 힘을 쏟겠다”고 밝혔다.